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광역알뜰교통카드 신청 및 사용방법 + 마일리지 받기

일상생활 꿀팁

by 김스릉 2021. 3. 23. 17:25

본문

반응형

광역알뜰교통카드 신청 및 사용방법 + 마일리지 받기

 


안녕하세요. 귤선이입니다.

오랜만의 포스팅으로는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꿀팁을 가져왔습니다! 

 

직장인이지만 저와 같은 뚜벅이 여러분들은 한 달에 나가는 대중교통비가 은근히 만만치 않을텐데요. 저만 해도 한 달에 교통비로만 약 8~9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교통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할인 혜택 정도만 생각하고 있었지, 그 외의 다른 방법은 모르고 있었는데요.

 

친구의 추천으로 광역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광역 알뜰교통카드란?

 

출발지를 기준으로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돌려주는 제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대중교통에서 내릴 때 하차태그를 하고, 도착지까지의 거리만큼도 마일리지가 쌓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에 선택한 카드사의 추가혜택에 따라서는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하니 저같은 직장인들에게는 아주 쏠쏠한 혜택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방법으로는, 단순히 광역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한다고 해서 마일리지가 쌓이는 것은 아닙니다.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어플을 동시에 사용하셔야 마일리지 적립 혜택을 받으실 수 있고, 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마일리지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출발지에서 출발하거나 도착지까지 도착할 때 어플에서 출발/도착 버튼을 눌러줘야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이동한 거리가 인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습관을 들이지 않으면 쉽게 까먹을 수도 있어서 번거로울 것 같기도 하지만, 그래도 마일리지를 적립하려면 이 정도의 노력은 해야겠죠?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발급 후에 일정횟수(15회)이상 사용 시 마일리지가 적립이 되며, 사업 지역 거주민이 아닐 경우에는 마일리지 적립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업 지역이 아니라고 해도 전국에서 교통카드 사용은 가능합니다. 

 

보행/자전거 이용거리 800m 기준으로 1회한도 250~450원이 적립되며, 1일 횟수 한도는 별도로 없습니다. 최대 44회 한도로 한 달에 약 11,000원~19,800원이 절약되며 800m 미만의 거리는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여기에 카드사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할인혜택까지 더해지면 더욱 더 혜택이 쏠쏠하답니다. 

 


광역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광역알뜰교통카드의 신청은 홈페이지 www.alcard.kr/ 에서 하시면 됩니다. 원하시는 카드사의 카드를 선택하여 신청하신 후에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광역알뜰교통카드 어플을 다운 받은 후, 회원가입 후에 이동거리에 대한 출발/도착 버튼을 누르며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광역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는 주민등록 등본상 주소지의 지자체 예산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회원가입 시에 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이나 초본을 꼭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카드는 신한 / 우리 / 하나카드 중에서 선택가능하며, 카드사 별로 혜택이 다르니 꼼꼼히 확인하셔서 본인의 소비스타일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로 발급이 가능한데, 신용카드는 연회비가 발생하며 매월 카드 사용 실적에 따라 추가 할인혜택이 달라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면, 체크카드의 경우에는 연회비가 필요 없고, 매월 사용 실적이 중요하지 않으니, '나는 마일리지 혜택만 보겠다!' 하시는 분들은 체크카드를 발급하셔서 교통카드처럼 쓰시면 된답니다. 

 

 

 

모바일 페이로는 티머니 제로페이 X 알뜰교통카드가 있으며, 제로페이 가맹점에서의 QR 결제 이용금액을 기준으로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10%를 T마일리지로 적립해준다고 합니다. 

 

 

오늘은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의 신청 방법과 마일리지 적립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